안전

PSM(Process Saftey Management)

주뇽s 2017. 9. 20. 03:20

PSM(Process Saftey Management)이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9조

근로자의 자발적인 참여로

유해/위험 설비를 보유한 사업장 내에 잠재 되어있는 위험성(위험물질 누출, 화재, 폭발) 등을 찾아 내어 제거하고,

비상사태 시 사업장 내의 근로자를 보호하며, 사업장 인근지역까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관리시스템이다.

 

공정안전 관한 교육은 3년마다 1회 이상 교육을 실시해야한다.

 

 

공정안전관리 12대 요소

 

가. 공정안전자료의 주기적인 보완 및 쳬계적인 관리

MSDS, PFD/P&ID, 설비목록, 폭발위험지역 구분도

나. 공정 위험성 평가 체제 구축 및 사후관리

Check List기법

사고위험성분석(PHR(K-PSR))

위험 운전분석(HAZOP)

이상위험도분석(FMECA)

결함수분석(FTA)

사전수분석(ETA)

다. 안전운전절차 보완 및 준수

안전운전지침서

라. 설비별 위험등급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

설비점검 정비 유지관리 계획

마. 작업허가절차 준수

안전작업허가 지침

바. 협력업체 선정시 안전관리 수준 반영

도급업체 안전관리 계획

사. 근로자(임직원)에 대한 실질적인 PSM 교육

근로자 교육훈력 계획

아. 유해/위험설비의 가동(시운전)전 안전점검

가동전 점검 계획

자. 설비 등 변경 시 변경관리절차 준수

변경요소 관리 계획

차. 객관적인 자체검사 실시 및 사후조치

자체 감사 계획

카. 정확한 사고원인규명 및 재발방지

공정사고조사 계획

타. 비상대응 시나리오 작성 및 주기적인 훈련

비상조치 계획 

 

 

변경관리란?

 

기존 설비와 다르게 교체하거나 증설/감축하는 경우 이와 관련하여 관리를 하기 위함이며,

변경관리 대상에 대해서는 등급(MOC(Management of Change) Classes)을 구분한다.

 

 

변경관리 프로세스

 

     

 

 

밀폐공간에서 적정공기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8조

산서농도의 범위가 18% 이상 23.5% 미만

탄산가스의 농도가 1.5% 미만

일상화탄소의 농도가 30ppm 미만

황화수소의 농도가 10ppm 미만인 수준의 공기를 말한다.

 

 

유해 위험물질의 규정량이란?

 

하루 동안 최대로 제조, 취급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양을 말한다.

(저장설비의 경우 최대 저장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