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광우병은 단백질의 화학 구조가 인간광우병(야곱병)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인 프리온(단백질+바이러스)과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광우병은 본래 4~5세의 소에게 주로 발생하는 해면상 뇌증으로 이상 행동을 보이다가 죽어 가는 전염성 뇌질환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광우병이 인간에게 감염될 가능성이 확인되었습니다.
원인
광우병이 주로 감염되는 소의 사료는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단백질은 콩, 생선, 동물의 부산물 특히 양의 부산물에서 얻어집니다. 70년대 말 몇몇 사료 가공업자들이 죽은 동물 및 그 부산물을 소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동물을 사료로 가공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는데 이 가공법은 고온 열처리를 하지 않으며 벤젠 같은 용제를 이용해 원료로부터 과도한 지방을 제거하여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의 동물 사료에 사용되는 죽은 동물 및 그 부산물이 간혹 뇌가 광범위하게 파괴되어 스펀지처럼 구멍이 뚫리는 신경 질환을 앓은 양이나 염소였을 경우 고온 처리가 되지 않은 동물 사료로 인해 소의 감염이 발생하게 된 것이라 추정합니다. 광우병은 전염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해면상 뇌병으로 알려진 중추신경계의 진행성, 퇴행성 질병에 속합니다.
증상
광우병이 걸린 소는 뇌에 구멍이 생겨 급작스럽게 포악해지고 미친 듯한 정신 이상과 거동불안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 사람도 마찬가지로 다른 해면상 뇌질환과 같이 진행이 수년 간 걸립니다. 기억력이 상실되고 이상 행동을 보이며 정신지체 및 치매가 생기고 수족의 무의식적 운동 등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진단
해면상 뇌질환과 같은 진행을 보이므로 각종 혈액검사 및 뇌기능 검사, 척수 신경조직의 정밀검사, CT 등의 검사 등을 받게 됩니다.
치료
아직까지 정확한 치료법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주의사항
소의 감염을 막기 위해 용제를 이용해 지방을 제거한 단백질 사료는 사용을 금지시켰으며 모든 동물 사료에 특정 부위의 고기는 동물 사료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금지되었습니다. 물론 사람에게도 소의 특정 부위 섭취가 금지되었습니다. 금지된 부위는 뇌, 갑상선, 지라, 척추, 창자, 편도선 등입니다. 참고하여 섭취하지 말아야 하지만 그 외 부위 쇠고기 및 우유를 먹는다고 광우병에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출처: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32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란 (0) | 2019.11.14 |
---|---|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0) | 2019.11.14 |
옷 색깔 및 패션고자 탈출 방법 (0) | 2019.11.02 |
세계에서 여행하기 가장 안전한 나라 (0) | 2019.11.01 |
정장 구두 색깔 (0) | 2019.11.01 |